2000년 이후 중동 부동산 시장은 고유가, 유동성 과잉, 1인당 가처분 소득 증가 등 종합적인 요인으로 호황을 누렸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충격으로 침체된 후, 중동 부동산 시장(특히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두바이와 아부다비)은 서서히 회복 중이며, EU와 미국 경제 회복과 함께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등지의 부동산 시장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중동 건물 외장재 시장은 부동산 회복의 혜택을 받으며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최근 여러 전문 제조사들이 이 지역 시장 점유율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테라코타 패널 소비 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으로, 주로 다음 두 가지 요인에 의해 제한되고 있습니다:
1. 현재 중동 건물 외장재 소비 현황을 보면, 주류 외벽 마감재는 여전히 페인트, 대리석, 알루미늄 합금판 및 유리 커튼월이며, 이들이 지역 건물 외장재의 90% 이상을 차지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전통적인 디자인 개념과 소비 습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테라코타 패널의 소비 비중은 중동 건물 외장재 전체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편입니다.
2. 중동의 건설사와 부동산 개발사들은 건물 외장재 가격에 상대적으로 민감합니다. EU와 미국의 유명 브랜드들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이 지역에서 만족스러운 시장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이에 비해 알루미늄 합금판은 저렴한 가격으로 테라코타 패널의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테라코타 패널은 이 시장에서 여전히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테라코타 패널은 친환경 천연 점토를 소성하여 보온, 내한, 방음 등의 "그린"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색상 옵션과 우수한 질감으로 디자이너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2.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 테라코타 패널이 등장하며, 이들 국가의 가성비 좋은 테라코타 패널이 점차 중동 건설사와 부동산 개발사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2013년 LOPO China는 쿠웨이트에서 약 10,000제곱미터 규모의 프로젝트 입찰에 성공했습니다. “프로젝트에서 상당량의 테라코타 패널이 필요했지만, 판매 가격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라고 LOPO China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3. 테라코타 패널 설치에는 특수 설치 시스템과 특정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통적으로 중동에는 커튼월 프로젝트를 위한 전문 설치 회사들이 많아, 테라코타 패널 보급에 유리한 환경입니다.
결론적으로, 테라코타 패널 적용 사례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중동 시장에서의 전망은 비교적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